본문 바로가기
그것이 알고싶다

'정책지원금' 문자, 진짜 일까

by 최야몽 2022. 5. 29.
반응형

'긴급 생활 안정자금' '민생지원 프로그램 지원' 등 신청 대상자로 선정되었다며 안내 문자를 보내는 것은 진짜일까? 은행이나 저축은행 등 금융회사 명의로 정책자금 신청대상이니 기한 내에 신청하라는 문자를 받아 인터넷 주소까지 기재되어있다면 궁금한 마음에라도 열어보게 된다. 하지만 우리가 많이 들어본 금융사기의 사직은 이런 문자 속 인터넷 주소 클릭이다. 정부와 금융권을 사칭한, 피싱(낚시) 문자이기 때문이다. 

 

저금리 대출 대환 하거나 추가 대출을 받아 바로 상환하며 신용평점을 올린다며 중간에 돈을 가로채는 경우가 허다하다. 더군다나 코로나19로 비대면만 진행 가능하다는 논리는 그럴듯하게 들리기도 한다. 인터넷 주소를 보내 원격조종 앱을 설치하면 피해자의 핸드폰 속 정보가 그대로 해킹당하는 것이다.  이런 보이스피싱 피해는 단순 집계만 1682억, 피해자는 1만 3천여 명이 넘는다. 환급액은 기대할 수 있을까? 환급액은 35% 정도의 미미한 수준이다. 특히나 메신저 설치 피해액은 991억으로 코로나19 이후 급격하게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언제나 후순위조치를 내뱉기 마련인데, 정말 하는 말은 매번 같지 않은가...? 이런 문자나 전화를 받을 경우 개인정보제공은 물론 자금이체 요청은 단번에 강력히 거절하라고 권고한다.  정부기관, 금융회사는 문자나 전화로 절대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며, 시중금리보다 낮은 대출금리 같은 달콤한 제안은 보이스피싱일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늘 주의해야 한다.

 

문자 속 출처가 불분명한 주소는 단언컨대 절대 클릭하지 말아야 한다. 자칫 실수로 클릭을 했다 가는 원격조종 악성 앱이 서치 되고 개인정보가 모두 유출되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이미 설치했다면 반드시 백신앱으로 삭제를 하거나 가급적 서비스센터에 방문해 초기화하는 것을 권장한다. 보이스피싱을 당한 것을 알게 된다면 금융감독원 콜센터(1332)에 전화해 신고하고 피해구제를 신청하자. 또한 유출한 개인정보를 이용해 명의 도용당한 것은 없는지 조회하는 서비스를 이용해 볼 수 있다. (www.msafer.or.kr)

 

반응형

댓글